MicroSD카드, 마이크로SD카드, 메모리카드,
1. 잘 모른다면 Sandisk를 구매하는게 현명하다.
MicroSD카드는 액션캠이나 드론 또는 블랙박스에 주로 사용되는 저장장치로 많이 사용한다. 또는 라즈베리파이나 게임기와 같은 기기에서도 사용되는데 소비자가 알아야 할 내용이 너무 많다.
규격 | 설명 |
CLASS10 (C10) |
메모리카드에 적용되는 최소 스피드 표준 등급 표시를 나타내며, 최저 보장속도를 표기해주는 SD협회의 규격 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속도가 빠르며, 연사와 동영상 촬영에 유리합니다. |
UHS (U1, U3) |
Ultra-High Speed의 약자로 SDHC와 SDXC 메모리카드의 속도 표기 규격 중 하나로서, 메모리카드의 최대 전송속도를 뜻합니다. 기본적으로 CLASS10의 속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 U1(UHS속도 클래스 1): 10MB/s의 최소 쓰기 속도 - U3(USH속도 클래스 3): 30MB/s의 최소 쓰기 속도 UHS의 경우에는 속도에 따라 나누어지지만 구매시에는 실질적인 메모리카드의 최소한의 속도를 보장한다는 의미의 UHS Speed Class 1(U1)과 3(U3)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UHS-I은 최대 104MB/s - UHS-II는 최대 312MB/s, - UHS-III은 최대 624MB/s |
영상쓰기속도 (V6, V10, V30, V60, V90) |
2016년 새로운 속도 등급 규격인 '비디오 스피드 클래스' 영상 촬영을 위해 만든 규격으로 최소 순차 쓰기 속도를 기준으로 V6, V10, V30, V60, V90으로 표기됩니다. |
고사양앱구동 (A1, A2) |
2016년 SD 협회에서 도입한 새로운 등급으로 SD 메모리 카드에서 사진, 영상, 음악, 문서 등의 데이터 저장을 제공하면서도 원활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성능 클래스를 뜻하며, A2 기호가 표시된 SD 메모리 카드는 아래 조건에서 수준 이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 초당 무작위 읽기 I/O 액세스(IOPS):4000 - 쓰기 IOPS:2000 - 지속적 순차 성능:10MB/s A1 기호가 표시된 SD 메모리 카드는 아래 조건에서 수준 이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 초당 무작위 읽기 I/O 액세스(IOPS):1500 - 쓰기 IOPS:500 - 지속적 순차 성능:10MB/s |
가장 중요한 부분은 MicroSD카드는 고장나면 복구할 수 없기에 가성비를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메모리 저장장치를 가장 잘 만드는 회사는 당연컨데 SK 하이닉스이다. 전자기기의 경우 전문가 수준이 아니라면 보통 남들이 사는걸 따라 구매한다.
또는 같은 사양인데 더 저렴한 제품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Samsung의 메모리 카드를 구매한다. 이건 PC용 RAM이나 SSD에서도 똑같은데 삼성이 대기업이라서 가격을 저렴하게 판매하는게 아니다. (다른 제조사들도 대기업이다.)
삼성이 A/S가 편해서 쓰는 사람도 많은데 A/S가 필요없도록 만드는게 더 좋은 제품이고 A/S를 많이 한다는 것은 그만큼 고장이나 불량이 많다는 것이다.
Samsung, Lexar 다 필요없고 구매할 MicroSD 카드가 어디에 사용되던 문제없길 바란다면 Sandisk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추가로 장비가 1TB용량을 지원하는지도 중요한 요소이다.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512GB를 사는게 안전하다.
아래 SanDisk Extreme PRO가 첫번째 정답이다.
샌디스크 마이크로SD 카드 MicroSDXC Extreme Pro UHS-I QXCD U3 4K, 512GB, 1개 - microSD | 쿠팡
쿠팡에서 샌디스크 마이크로SD 카드 MicroSDXC Extreme Pro UHS-I QXCD U3 4K, 512GB, 1개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microSD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비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에어 vs 갤럭시 엣지 차이점 (0) | 2025.09.20 |
---|---|
2025년 국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비교: 유튜브 뮤직 1위 시대, VIBE·벅스·Spotify·TIDAL·Apple Music·지니뮤직 분석 (1) | 2025.09.18 |